본문 바로가기
머니

대한민국 연금 개혁, 드디어 결론났다! – 모수개혁안 핵심 정리

by 인천 홍금보 2025. 3. 21.

📚 목차

🔎 개혁의 시작: 왜 지금 연금 개혁인가?

요즘 뉴스에서 연금 이야기가 자주 들리죠. 사실 이번 개혁은 하루아침에 나온 게 아닙니다. 고령화는 이미 눈앞의 현실이고, 지금처럼 흘러가다간 우리 세대, 그리고 그다음 세대가 부담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위기의식에서 시작됐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는다고 해요. 이 말은, 지금처럼 일하는 세대가 줄어들고 연금 수급자는 늘어나니, 현재 구조로는 오래 버티기 어렵다는 뜻이죠.

또 하나, 세대 간 형평성 문제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지금 20~30대는 앞으로 내야 할 연금은 많고, 받을 수 있는 연금은 줄어들 거라는 불안감을 갖고 있거든요.

📌 연금 모수개혁안 최종합의, 무엇이 바뀌었나

1️⃣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

가장 크게 바뀌는 건 바로 ‘보험료율’이에요. 현재는 월급의 9%를 국민연금으로 내는데, 2026년부터는 매년 0.5%p씩 올려서 2033년엔 13%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물론 부담이 커지는 건 맞지만, 그만큼 연금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이라 볼 수 있습니다.

2️⃣ 소득대체율 인상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소득대체율’이 오르게 됐다는 겁니다. 기존엔 평균소득의 40% 수준이었는데, 이번 개혁으로 43%까지 올라갑니다.

쉽게 말해, 같은 돈을 냈더라도 노후에 받는 연금액이 조금 더 늘어나는 셈이죠.

3️⃣ 군 복무 및 출산 크레딧 확대

이번 개혁에서는 군 복무자나 다자녀 부모에게 주는 ‘가입 기간 인정’ 혜택도 더 넉넉해졌습니다.

  • 군 복무자는 기존 6개월에서 → 12개월로 확대
  • 출산 크레딧은 첫째 자녀부터 적용되고, 상한(기존 50개월)도 사라졌습니다

특히 다자녀 가정에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변화로 보입니다.

📈 실제 사례로 보는 개혁 효과

사례 1: 직장인 A씨

A씨는 월 300만 원을 벌고 있는 35세 직장인입니다. 지금부터 65세까지 국민연금을 계속 납부한다고 가정했을 때,

  • 기존 보험료: 약 27만 원 (9%)
  • 개혁 후 보험료: 약 39만 원 (13%)
  • 예상 연금 수령액은 기존보다 약 9만 원 이상 증가

사례 2: 군 복무자 B씨, 세 자녀 부모 C씨

  • B씨는 군 복무로 인해 1년의 추가 가입 기간 인정
  • C씨는 첫째부터 셋째 자녀까지 총 42개월 가입 기간 인정

예전에는 둘째부터만 인정됐던 게 첫째부터 확대된 점이 특히 눈에 띕니다.

🔮 앞으로 남은 과제와 전망

이번 개혁이 끝은 아니에요. 구조 자체를 어떻게 바꿔야 할지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자동조정장치’처럼 나라 재정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보험료나 수령액이 조절되는 시스템도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죠.

그리고 중요한 건, 이런 논의가 계속될 수 있도록 국민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겁니다.

✅ 마무리: 우리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이제는 ‘알아서 되겠지’라고 생각하면 안 되는 시대입니다. 국민연금 하나만으론 부족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 주택연금 같은 다양한 방법을 미리 고민해봐야 합니다.

또 하나, 연금제도는 한 번 바뀌면 끝나는 게 아니라 계속 바뀝니다. 정부 발표나 제도 변화 소식을 꾸준히 확인하는 습관이 정말 중요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