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니

상호관세? 오히려 좋아! 관세 폭풍 속 미소 짓는 K-뷰티, 그 이유는?

by 인천 홍금보 2025. 4. 3.

💡 트럼프의 관세, K-뷰티에는 왜 호재였을까?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꺼내든 '25% 상호관세' 카드는 유럽과 중국 브랜드에겐 강력한 타격이었습니다.

프랑스, 이탈리아산 고급 화장품이 평균 10~15% 가격이 오르자, 미국 소비자들은 자연스레 다른 대안을 찾기 시작했죠.

“프랑스 크림이 13만 원으로 올랐을 때, 7만 원짜리 한국 크림이 대체재로 떠올랐죠.”
— A사 마케팅 담당 김OO(38세)

 

K-팝, K-드라마로 쌓아온 문화 신뢰도가 구매 결정에 힘을 보탰습니다.

✈ 한한령 이후, 미국으로 눈을 돌린 이유

K-뷰티가 미국 시장에 이렇게 적극적일 수 있었던 데는 아픈 과거가 있습니다. 2016년 사드 사태 이후, 중국 시장에서의 ‘한한령 쇼크’를 몸소 겪은 거죠.

“당시 중국 매출 비중이 90%였어요. 관계가 틀어지니 순식간에 매출이 무너졌습니다.”
— B사 대표

📊 숫자로 보는 K-뷰티 수출 반등

2024년 상반기 한국 화장품 수출액은 43억 달러(약 5조 8천억 원)를 기록했습니다.
이 중 미국 수출은 9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8.7% 상승이라는 깜짝 수치를 보였습니다.

국가 2023년 대비 증감률 특이사항
🇺🇸 미국 +28.7% 세포라·얼타 등 프리미엄 채널 확대
🇯🇵 일본 +12.3% MZ세대 중심 한국 브랜드 선호
🇨🇳 중국 -3.1% 로컬 브랜드 강세, 한한령 여파 지속
🇻🇳 베트남 +9.8% K-드라마 영향으로 구매 증가

현장 인터뷰
인천공항 면세점에서 만난 미국인 제니퍼(26세):
“친구들이 한국 올 때마다 부탁해요. 저는 ‘K-뷰티 딜러’예요.”

📈 누가 웃고 누가 울었나: 종목별 수혜 분석

  • 아모레퍼시픽 (090430): 북미 매출 22% 증가, 라네즈/설화수 히트
  • 코스맥스 (192820): 북미 매출 30% 이상 성장, 글로벌 OEM 강자
  • 클리오 (237880): 미국 틱톡·아마존에서 바이럴, 미국이 최대 성장국

🔍 숨은 강자들: 소재·기술 기업의 약진

  • 라파스 (214260): 마이크로니들 기술로 미국 매출 45% 증가
  • 코스메카코리아 (241710): 클린뷰티 포뮬레이션, 친환경 수요 대응

⚠ 기회의 창, 그 안을 채우는 건 결국 ‘실력’

“관세 덕에 잠깐 뜬다고 방심하면, 10년 전 중국처럼 또 무너질 수 있어요.”
— 화장품 산업 컨설턴트 박OO
  • 명품 이미지 구축: ‘갖고 싶은 브랜드’로 포지셔닝
  • 지속가능성 확보: 친환경 규제에 선제 대응
  • 현지화 전략: 미국 소비자 취향 반영 제품 개발

✨ 마무리하며: K-뷰티, 지금은 미국이다

“트럼프의 관세는 기회의 창을 열어줬을 뿐,
그 안을 채우는 건 결국 우리 실력이에요.”
— C사 미국 법인장 이OO(45세)

K-뷰티는 위기를 기회로 만든 대표적 사례가 되었습니다.
문화와 제품, 전략이 맞물려 글로벌 무대에서 존재감을 키워가는 지금, 다음 스텝이 더욱 기대됩니다.